서비스디자이너의 독학

[스케치업] Day-2 : 그룹/솔리드/컴포넌트 개념 이해하기 본문

올해의 독학/스케치업 🏠

[스케치업] Day-2 : 그룹/솔리드/컴포넌트 개념 이해하기

혜등 2023. 9. 24. 21:17
반응형


스케치업의 두번째 관문, 스케치업은 작업을 아무리해도 덩어리들 안에 선들이 살아 있기 때문에, 뭘 하나 제대로 선택하기가 어렵다.
거기다 스케치업은 라이노나 다른 3D 프로그램과는 달리 이 삼차원의 객체들이 내부가 꽉 차있는게 아니라 사실 면으로 둘러싸인 상태로 그냥 내부가 텅 비어있는 것이다.
그래서 더더욱 그룹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데, 여기서 그룹-솔리드-컴포넌트의 각각의 개념과 그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. 간단한 네모 동그라미 그리는데에는 이 기능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, 복잡한 건물이나 많은 요소가 있는 것들을 다루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.


그룹과 컴포넌트는 캐드에 비교하자면 그룹은 캐드의 그룹과 같은 기능이고, 컴포넌트는 블록과 같은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.
그룹된 객체들을 복사 붙여넣기해도 서로 관련 없는 객체로 각각이 편집하는 것이지만 컴포넌트는 이 컴포넌트를 복사 붙여넣기 했을 때
모든 컴포넌트들이 하나만 수정해도 모두가 함께 수정되는 특징을 가진다. 말하자면 모든 공간에 동일하게 들어가는 기둥은 컴포넌트로 작업하는게 좋고,
특색있는 하나의 벽체를 작업할 때에는 그룹이 더 좋은 것이다.
그리고 그룹 중에 잡다한 요소들 없이 딱 3차원 입체 부피가 완결된 요소들로만 구성된 것들을 ‘솔리드 그룹’이라고 하고 마찬가지로 컴포넌트 중에서도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솔리드 컴포넌트라고 할 수 있다. (솔리드 툴이 따로 있기 때문에 구분이 필요하다!)


그룹

여러개의 요소들을 매번 클릭할 필요 없이 한번의 클릭으로 해당 요소들을 모두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.

  • 보통 그룹 - 솔리드 그룹(고체그룹) 다름
    • 경량벽체와 안이 꽉찬 벽체… (솔리드가 꽉찬거)
    • 솔리드 그룹으로 해야 나중에 솔리드 툴을 쓸 수 있음
    • 겹쳐진 두 덩어리를 한몸으로 만들거나 깎아내거나 할 수 있음 (매스스터디 가능)

컴포넌트 (구성요소)

  • 같은 비닐봉다리지만 그룹이랑 다름
    • 겉보기엔 차이가 없음 (복사 했을 때 차이가 남)
    • 그룹은 하나를 바꿔도 나머지가 바뀌지 않지만 컴포넌트는 캐드의 블록 같은 것 (다 같이 바뀜)
    • 그룹은 많아지면 너무 무거워지지만 컴포넌트는 하나로 봐줌


그룹은 특성이 얼마 없지만 컴포넌트는 특성이 많기 때문에 그 기능에 대해서 좀 더 알아봐야할 부분이 많다.

  • 컴포넌트 중에서도 [메이크유니크]를 통해 우클릭하고 고유하게 지정하면?
  • 그 친구는 혼자 따로 놀게됨!
  • 하지만 하나만 할 수 있는게 아니라 여러개를 할 수도 있음

 
컴포넌트

  • 뷰포트 상에서 지워도 데이터 상에 남아있음
    • 언제든 불러올 수 있음
  • 관리.. 삭제.. 다 가능


이제 3가지에 대해서 개념적으로 완전히 구분하여 이해하게되었다.
이제 잘 활용해봐야지..!

반응형